취업생활정보
2022.07.20
[벼룩시장 조사] 중장년 10명 중 6명은 알바 중… 66.5%는 ‘N잡러’
중장년 10명 중 6명은 현재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으며, 이들 중 66.5%는 본업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는 이른바 'N잡러'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일자리앱 벼룩시장이 40대 이상 남녀 6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60.3%가 '현재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고 답한건데요. 35.5%는 Ƈ년 이내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으나 현재는 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으며, '아르바이트 경험이 전혀 없다'는 응답자는 4.1%에 그쳤습니다.
현재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의 66.5%는 본업과 최소 1개 이상의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는 N잡러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 75.2%가, 여성은 56.5%가 현재 N잡을 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N잡을 시작한 시기는 코로나19 발생 이후(73.3%)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장년이 아르바이트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역시나 '돈'이었습니다. ▲추가 수입이 필요해서(38.7%)라는 답변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생계 유지를 위해(25.2%), ▲용돈 마련을 위해(15.3%), ▲노후 준비를 위해(5.4%) 순으로 이어졌는데요. ▲은퇴 후 시간 여유가 생겨서(5.4%), ▲정규직 취업이 어려워서(4.5%) 아르바이트를 택했다는 응답자도 있었습니다. 이밖에 ▲하고 싶었던 일을 경험해 보기 위해(2.6%), ▲가족 부양을 위해(1.6%), ▲사회 참여를 위해(1.3%) 등의 답변도 있었습니다.
중장년이 가장 많이 하는 아르바이트 업직종 1위는 ▲운전·배달·물류(택배, 대리운전, 배달대행 등)(19.5%)였습니다. 다음으로 ▲요리·서빙(음식점, 카페, 패스트푸드 등)(14.4%), ▲서비스(청소, 전단지 배포, 휴게소, 주유소 등)(13.4%), ▲사무직(12.8%), ▲매장관리·판매(12.5%)가 근소한 차이로 2~5위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IT·인터넷(웹기획, 코딩, 바이럴 등)(7.7%), ▲교육·강사(5.4%), ▲생산·건설·노무(4.5%), ▲문화·여가·생활(숙박, 레포츠, PC방 등)(3.5%), ▲간호·요양·의료(2.2%), ▲상담·영업(1.9%), ▲디자인(1.3%), ▲미디어(보조출연, 촬영보조 등)(1.0%)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장년 아르바이트 근로자들의 월 평균 소득은 74만 8천원, 주당 근무시간은 18.4시간으로 집계됐습니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의 월 평균 아르바이트 소득이 80만 4천원으로 여성(69만 9천원)보다 10만 5천원 높았는데요. 연령대별로는 ▲40대가 75만 2천원, ▲50대 73만 6천원, ▲60대 이상 73만 8천원으로 40대의 월 평균 소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업직종별 소득을 살펴보면 ▲간호·요양이 월 평균 96만 4천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생산·건설·노무(91만 9천원), ▲운전·배달·물류(80만 7천원), ▲매장관리·판매(79만 4천원), ▲사무직(75만 9천원), ▲서비스(75만 7천원) 순으로 이어졌습니다. 이어 ▲상담·영업(73만 3천원), ▲IT·인터넷(69만 4천원, ▲미디어(69만 3천원), ▲디자인(67만 3천원), ▲요리·서빙(66만 6천원), ▲교육·강사(60만 6천원)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문화·여가·생활은 56만 4천원으로 가장 낮은 월 소득을 기록했습니다.
주당 근무시간이 가장 긴 업직종은 ▲간호·요양(24.9시간)과 ▲생산·건설·노무(22.7시간)로 업직종별 월 평균 소득에 이어 나란히 1, 2위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매장관리·판매(21.6시간), ▲사무직(20.2시간), ▲상담·영업(19.3시간), ▲서비스(19.1시간), ▲요리·서빙(18.2시간), ▲미디어(17.7시간) 순으로 이어졌으며, ▲교육·강사(13.7시간)의 주당 근무시간이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중장년 아르바이트 근로자의 23.3%는 올해 법정 최저임금인 9,160원보다 낮은 급여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업직종별로 살펴보면 ▲요리·서빙(35.6%), ▲매장관리·판매(33.3%), ▲미디어(보조출연, 촬영보조 등)(33.3%)가 최저임금보다 낮은 급여를 받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높았습니다.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도 절반에 가까운 45.4%에 달했는데요. 특히 ▲생산·건설·노무(71.4%), ▲미디어(66.7%), ▲서비스(64.3%), ▲IT·인터넷(62.5%)의 경우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다는 응답자가 작성했다는 응답자의 약 2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