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직업
예부터 출산은 집안의 큰 경사였다. 며느리가 아기를 낳으면 편히 쉬면서 주변 사람들의 극진한 보살핌을 받았다. 산모와 아이는 모처럼 친정집으로 돌아가 보양식을 먹으면서 푹 쉴 수 있었다. 점차 핵가족화 등으로 요즘은 전문 산후조리 서비스를 산후조리원에서 맡고 있다. 하지만 같은 상황을 겪는 결혼이주여성들의 경우에는 언어소통의 문제, 문화적 차이 등으로 우리나라 산모들이 받고있는 서비스를 받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다문화 산후조리는 결혼이주여성이 자신과 같은 입장인 결혼이주여성 산모를 대상으로 산후조리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다문화 산후조리사는 전문적인 산후조리 교육을 받은 외국인 여성으로 신생아를 함께 돌봐주고 자국 방식으로 식단도 만들어 준다. 이들의 업무는 크게 산모 건강관리서비스, 신생아 관리서비스, 그리고 식사, 청소, 신생아 위생관리 등 가사활동서비스로 구분된다.
산모의 출산 예정일에 맞추어 가정으로 방문하고, 산모의 섭식 등의 생활계획을 세우고 산모의 건강관리, 신생아 보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일반적인 산후조리사의 업무는 동일하다. 산후조리사가 산모와 같은 언어를 쓰기 때문에, 산모 입장에서는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안정감을 얻을 수 있다.
다문화산후조리사는 결혼이주여성 산모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 산후조리업체에 소속되어 활동한다.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60%이상이 산후조리 시 문화적, 언어적 차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배경에서 2012년경부터 일부 지방자치단체나 다문화산후조리 기업 등에서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방문산후조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처음 서비스의 시작은 다문화 산후조리 청년기업‘맘마미아’에서 출발한다. 이때 출산을 한 결혼이 주여성에게 같은 국적의 산후조리사를 연결하여 산모와 아이를 보살핀다. 즉 이들에게는 ‘고향식 산후조리사’라고 할 수 있다. 국적별 1:1 매칭을 원칙으로 하며, 모국에서 산후관리를 받는 것처럼 편안한 산후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산후조리는 출산을 겪은 산모의 몸과 마음의 건강회복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으로, 편안한 산후조리를 통해 산모가 빨리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이다. 업체에서 운영되는 전문 교육을 이수한 후 같은 나라 출신의 산모 가정에 방문하여 산후조리사로 활동할 수 있다. 산후조리사는 산모와 같은 언어를 쓰기 때문에, 산모는 신체적 균형회복뿐만 아니라 타국에서 외로움을 겪던 산모는 정서적 안정까지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혼이주여성들은 안정적인 경제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즉, 한국의 산후조리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다문화가정의 산모들에게 자국의 산후조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출산 후 신체적·정서적 회복을 돕고, 취업을 원하는 결혼 이민자들에게는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사업이다.
가정에 파견되는 다문화산후조리사의 교육은 개별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 기관인 ㈜다누리맘에서는 한국어를 할 수 있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총 40시간 가량의 교육을 실시한다. 전문 산후조리사가 갖추어야 할 자세 및 역할에 관한 이론과 실제로 가정에서 산모와 신생아를 돌볼 때 적용될 수 있는 실습(산모체조,신생아체조, 산모식단 요리 등)에 대해 체계적으로 교육 받는다.
2015년, 양천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한국어 중급이상의 다문화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루 6시간, 모두 60시간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했는데 이 교육을 받은 이들은 연계된 사설기관에 취업이 되어 다문화 산후조리사로 일하고 있다. 이 밖에도 지방자치단체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에서는 구직을 원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산후조리사 과정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산모를 상대하는 업무로 서비스 지향적인 사람에게 적합하다. 산모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대로 파악해 정확한 정보를 줄 수 있어야 하며,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성격이면 좋다.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결정과 빠른 대처능력 등을 가져야 한다. 산모와 신생아를 돌보는 일로, 타인에 대한 배려와 주의력도 요구된다.
생생 인터뷰